고조선
고구려
1. 을지문덕 장군 = 살수대첩(지금의 북한 청천강, 상대 = 수나라)
(실제 이름은 을문덕, 존칭을 성씨姓氏 뒤에 붙임, 고구려 중기 명재상 을파소의 후손)
(을문덕 = 을-지문덕, 을-문덕지, 을-지-문덕, 을-문덕-지, 을-부-문덕, 을-문덕-부)
(을파소 = 진대법 실시(오늘날 복지제도와 비슷))
2. 양만춘 = 안시성 전투(지금의 요동(요하강 동쪽), 상대 = 당나라)
(양만춘의 이름은 조선시대에 정해짐, 역사서에 전해지지 않음, 그냥 '안시성 성주'라고만 나옴)
백제
1. 계백 = 결사대
신라
1. 신라 병부령 김이사부 = 우산국 정벌, 금관가야 평화흡수, 대가야 무력통합
(이사부의 유력한 무덤에서 검출된 DNA는 여성)
(신라 대장군 이사부의 성씨와 이름은 "김이사"다.)
(김이사부 = 김이사지 = 김이사)
(김이사 = 김-이사-부, 김-이사-지, 이사-지-왕, 김-이사-지-왕, 김-이사)
(우산국 : 지금의 울릉도)
(금관가야 : 가야연맹의 시작,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)
(금관가야 마지막 왕 : 김구해(신라 태대각간 김유신의 증조할아버지)
(김구해 → 김노종(장자), 김무덕(차남), 김무력(삼남) → 김무력의 아들, 김서현 → 김유신)
(대가야 : 후기 가야연맹의 맹주, 지금의 경상북도 고령군)
2. 신라 상대등 김알천 = 김유신과 동급 혹은 그 이상이라는 평가
3. 신라 태대각칸 김유신 = 화랑도정신
가야
남북국시대 통일신라
남북국시대 발해
1. 장문휴 = 대륙 등주 공격(오늘날 중국 덩저우, 당시 발해 무왕 대무예)
고려시대
1. 서희 = 거란과 외교 담판(강동 6주 회복, 오늘날 평안북도)
2. 강감찬 = 귀주대첩(대결한 상대 : 거란족)
3. 윤관 = 발해계 여진족 격퇴
4. 고려 장군 김윤후 = 처인성 전투(상대 : 원나라)
5. 고려 수문하시중 최영 = 홍산 전투(1376년, 일본 격퇴)
6. 고려 장군 이성계 = 황주 전투(1361년, 홍건적 격퇴), 황산 전투(1380년, 일본 격퇴)
7. 정지 = 관음포 전투(1383년, 상대국가 : 일본 격퇴)
8. 박위 = 쓰시마 정벌(1389년, 지금의 일본 대마도)
조선시대
1. 최윤덕 장군 = 4군 개척(오늘날 압록강, 당시 세종대왕)
2. 병조판서 김종서 = 6진 개척(오늘날 두만강, 당시 세종대왕)
3. 임진왜란 3대 대첩 = 이순신 한산도대첩, 권률 행주대첩, 김시민 진주대첩
4. 임진왜란 의병장 = 정인홍, 홍의장군 곽재우, 석저장군 김덕령, 김천일, 정문부 등
5. 임진왜란 승병장 = 휴정, 사명대사(휴정의 제자), 호서지방 영규대사, 호남지방 처영대사
6. 병인양요(상대 : 제국주의 프랑스)
7. 어재현과 어재선(형제) = 신미양요(상대 : 미제국)
by 류대승(역사추적대 대장, 경제학 박사, 역사학 박사)
'연구 주제 2 (과거 자료) > 인문학 연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동북아시아 민족 연구 (0) | 2024.06.20 |
---|---|
확장판 2회 - 시대별 최고의 무인 (대왕 제외) (0) | 2024.06.18 |
조선의 이왕가를 뒤흔든 정도령 뜻 (0) | 2024.05.26 |
시대별 최고의 무인 (대왕 제외) (0) | 2024.05.26 |
임진왜란 당시 직위 (0) | 2024.05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