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학문으로써 행정학
1) 의의
- 국가 혹은 공공부문의 제반 행정활동 및 관련 주체들 간 상호작용을 설명
- 문제를 파악하여 해결하기 위한 대안 탐색과 해결 방법을 제시하는 종합 사회과학 학문
2) 행정학 개요
- 정책학 : 행정활동의 산출물인 정책을 연구
- 재무행정론 : 필요한 재정의 효율적 관리
- 조직론 : 기관 내 다양한 조직체계와 조직원의 구성형태 분류
- 인사행정론 : 공적 조직의 구성원의 임용 및 인사관리
- 정부개혁론 : 정부행정활동의 책임과 결과 평가하고 통제
- 전자정부론 : 새로운 정부형태
- 지방행정론 : 지방정부의 형태와 과정을 조사
2. 행정학 학문의 성격
- 보편성과 특수성
- 과학성과 기술성
- 가치 중립성과 가치판단 불가피성
3. 유럽에서 행정학의 시작
1) 독일 : 절대군주정 체제의 확립을 위한 왕실의 재정 강화를 연구하는 학문에서 발전
2) 프랑스 : 18C 경찰학을 토대로 한 행정학 발달
3) 영국 : 절대왕정에서 신분 및 정치적 성향에 의존하는 정실주의의 지속
4. 미국 행정학
1) 특징
- 시대에 따라 행정기능이 변함을 알고, 그에 알맞은 새로운 이론이 계속해서 개발
- 다원주의적 국가론을 기반으로 발전해서 다원주의적이고 적용범위가 넓은 보편적 성격
2) 시대 구분과 학자
- 초기 : Wilson(행정의 연구), Goodnow(정치와 행정), L.Gulick(POSDCRB), Willoughby(행정의 연구)
- 1930~40년 : Appleby, H.Simon, Mayo(호손 실험)
- 1950~60년 : H.Simon(행정행태론(1949)), Etzioni, Gaus와 Riggs, 신행정학 운동
- 1970~80년 : V.Ostrom(공공선택론(1973)), Savas(공공부문의 민영화론(1982)), 신국정관리론(NPM), 뉴거버넌스론, Wansley(행정재정립론(1990)), Osborne과 Gaebler(정부재창조론, 5C전략, 기업형 정부)
5. 시대별 흐름 요약
1) 19C : 근대입헌국가, 야경국가 / 시장 우위 / 입법부 위주 / 지방분권
2) 20C : 행정국가 / 정부의 적극적 개입 / 행정부 주도 / 신중앙집권
3) 21C : 신행정국가 / 경제주체와 정부의 협력 / 정책 관련 수평적 협력 / 세계화, 개방화
6. 구제도론과 신제도론
1) 구제도론 : 외생적 요인 / 보편적, 공식적 / 정태적 연구, 국가별 제도 차이 / 거시적 접근
2) 신제도론 : 상호작용 / 문화적, 비공식적 / 동태적 연구, 제도의 역할에 따라 분류 . 거시와 미시를 연계한 중범위적 접근
7. 공공선택이론
1) 정의
- 공공서비스의 생산과 공급 과정에서 시민의 선택을 중시
- 시장(market)에서 개인의 선호는 vote(투표)를 통해 최적화된 공공재의 분배가 가능하다고 보는 이론
2) 가정
- 인간은 독립된 의사결정자, 합리적 경제인, 방법론적 개체주의
- 이론을 기반으로 현실에 적용 (연역적 접근)
3) 내용
- 제도적 장치 통해 공공재의 효율적인 생산과 공급이 가능
- 참여자들의 의사결정에 연구
- 전통적인 관료제 조직은 공공서비스의 공급과 생산에 기여할 수 없다고 봄
8. 신공공서비스론
1) 전통 행정 이론 : 개괄적 합리성 / 정치적, 법적 / 단일 목표 / 관료제 / 제한된 행정재량, 계층제적 책임 / 기존의 프로그램 관리
2) 신공공서비스론 : 전략적 합리성 / 사회적 / 고유가치의 창출 / 리더십 / 다면적 책임 / 협조관계 구축
9. Post-modernity 이론 (포스트 모더니티 이론)
1) 정의 : 맥락 의존적(context dependent)
2) 특징 :
- 주관주의, 상대주의, 해방된 개인, 행동과 과정의 중시
- 인위적 구조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음
- 문제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인정
- 공공부문에서 정부의 독점적 지위와 권한 해제 및 탈관료제